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계절성 우울증, 증상, 예방법
    건강정보 2021. 12. 19. 08:08

     

    1. 계절성 우울증이란?

     

    가을.겨울철 우울증이 발생하는 이유는 일조량이 줄어든 탓이 크다. 세계적으로 일조량이 부족한 고위도 지역이나 사계절이 뚜렷해 계절변화가 심한 온대 지역에서 계절성 우울증이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줄어든 일조량으로 인해 햇볕을 쬐는 시간이 줄게되면 체내 멜라토닌 분비에 변화가 오고 이런 호르몬과 신경전달물질의 변화로 우울증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2. 계절성 우울증 증상

     

    계절성 우울증의 대표적 증상 중 하나는 늘어나는 식욕이다.

     

    특히 탄수화물이 많은 밥, 라면, 빵등을 비롯해 단 음식을 자주 찾게 된다. 잠들기 전 식욕이 증가해 밤참을 자주 찾아 체중이 증가하기도 한다.

     

    또한, 수면 욕구도 늘어 잠을 많이 자는 과다 수면이 나타나고, 아침에 일어나기 힘들어하는 모습도 보인다.

     

    무기력이 심해져 하루 종일 누워서 지내려고 하며, 짜증이 늘기도 하다.

     

    일반 우울증에서는 식욕저하, 불면증 등의 증상이 많이 나타나는데 비해, 계절성 우울증에서는 과다수면, 식욕증가 같은 비전형적인 증상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3. 계절성 우울증 예방법

     

    (1) 가벼운 야외활동하기

     

    계절성 우울증 예방법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지속적으로 햇빛을 쬐어주는 것이다.

     

    코로나 19 방역수칙을 준수하며, 낮에 잠깐 산책을 하거나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것도 우울증 예방에 도움이 된다.

     

    (2) 균형잡힌 영양 섭취

     

    규형잡힌 영양분을 섭취하는 것도 우울증 예방의 한 방법이다.

     

    특히 생선을 많이 섭취하는 것이 좋다. 생선 속 오메가3 지방산이 우울한 증상을 경감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치즈, 견과류, 닭고기 등에는 세로토닌을 증가시켜주는 아미노산인 트립토판이 많이 들어있어 우울증 예방에 도움을 준다.

     

     

    (3) 규칙적인 생활습관

     

    계절성 우울증으로 인해 식욕이 늘어 체중이 늘기 쉬운만큼 평소의 식사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불어 단 음식이 자주 생각나더라도 과도하게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또한 건강한 수면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계절성 우울증으로 너무 많이 자는 사람의 경우 신체리듬이 무너질 수있다.

     

    반대로 잠을 너무 못 잔다면 충분한 수면을 취한 사람에 비해 우울증에 걸릴 확률이 10배 높아지기 대문에 정해진 시간에 눕고 일정한 시간에 자는 습관이 필요하다.

     

    -중앙포스트 

    댓글

(c) 중앙포스트